청년희망적금, 청년 소장펀드, 청년 내일 저축계좌 알아보기
안녕하세요~ 감귤 귤입니다!
3/4에 가입이 마감된 청년희망적금의 인기가 엄청났죠. 정부의 예상보다 약 8배가량 많은 290만 명이 가입했다고 합니다. 청년희망적금 가입에 성공하신 분도, 조건이 안 맞아 못하신 분들도 계실 것 같습니다. 못하셨다고 아직 좌절하긴 이르죠. 앞으로 정부가 추진할 청년 자산형성 프로그램의 상품들이 더 남아있습니다.
오늘은 앞으로 진행될 청년 소장펀드, 청년 내일 저축계좌에 대해 알아보고 7월에 다시 재개될 예정인 청년 희망적금에 대해서도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정부에서 시행하는 청년 자산형성 프로그램
청년 자산형성 프로그램은 만 19-34세의 일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소득 수준에 따라 지원금을 차등 지급하는 상품을 말합니다. 이 프로그램 속 금융 상품에는 청년희망적금, 청년 소장펀드, 청년 내일 저축계좌가 있습니다.
그럼 지금부터 이 상품들의 가입조건과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가입대상과 정부 지원 정책
상품명 | 가입대상 | 납입액 | 가입 기간 | 정부 지원(만기 기준) |
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(청년소장펀드) |
총 급여 5천만원 이하. (프리랜서, 사업자의 경우, 종합소득액 3,800만원 이하) |
연 최대 600만원 | 3-5년 | 펀드 납입액의 40% 소득공제 |
청년희망적금 | 총 금여 3600만원 이하. (프리랜서, 사업자의 경우,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) |
월 최대 50만원 (연 최대 600만원) |
2년 | 이자소득비과세 저축장려금 36만원 |
청년내일저축계좌 | 연 소득 600만원 초과-2400만원 이하 + 기준중위소득 100% 이하 (대도시 3억 5천만원, 중소도시 2억원, 농어촌 1억 7천만원 이하의 재산요건도 충족해야 함.) |
월 10만원 이상 | 3년 | 정부지원금 월 10만원 (매년 120만원) * 수급자, 차상위자는 월 30만원 (매년 360만원) * |
위의 세 가지 상품은 가입조건만 맞으면, 중복으로 가입 가능합니다.
-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(청년 소장펀드)
청년 소장펀드는 청년희망적금처럼 저축장려금과 같은 직접적인 지원은 없지만, 펀드 납입액의 40%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 따라서 한 해에 600만 원을 넣었다면, 240만 원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청년 소장펀드에는 투자 조건이 있습니다. 바로 국내 상장 주식에 40% 이상 투자를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. 또한 펀드라는 종목의 특성상 원금손실이 생길 수 있다는 위험부담이 있습니다.
- 청년 내일 저축계좌
청년 내일 저축계좌는 월 10만 원 이상을 저축하면 정부가 10만 원을 지원하는 형식의 상품입니다. 그리고 중위소득 50% 이하의 차상위계층은 월 30만 원씩, 매년 36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이 상품은 연간 소득, 가구 중위소득, 재산 요건 등의 여러 요건들을 충족해야 가입이 가능합니다.
반면, 청년 내일 저축계좌는 수급자, 차상위자는 소득기준이 면제되며, 차상위 계층 가입 연령 범위가 15세-39세로 넓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- 청년희망적금
청년희망적금의 1차 모집은 3/4에 마감되었지만, 정부에서 7월에 가입 재개를 검토 중이라고 합니다. 그리고 7월에 재출시된다면, 지난해에 처음 소득이 생긴 사회초년생분들도 가입이 가능하니 한번 도전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.
지금까지 정부의 청년 자산형성 프로그램의 금융 상품 3가지를 알아봤습니다. 추가로 업데이트가 되는 내용이 있다면, 정리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!
'주린이의 주식 성장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청년도약계좌] 청년도약계좌와 문제점 (0) | 2022.03.11 |
---|---|
[신한알파] ISA 이체 실패 및 해결방법 (0) | 2022.03.10 |
[국민은행] KB 스타뱅킹 자동이체일 변경 방법 (0) | 2022.03.06 |
공모주 청약이란? (0) | 2022.01.29 |
증권사 계좌 개설하기 (0) | 2022.01.23 |
댓글